Skip to content

Day3 Computer Principle 2

Contents

어셈블리어 (2)

비트 연산 (shl, shr)

C 언어에서 비트 쉬프트 << 과 >>, ~ 은 내부적으로 shl, shr, not 어셈블리어를 사용한다.

  • shl <dest> <src> : <dest> = <dest> << <src> 의 의미이다.

    • SHift Left 의 줄임말이다.

    • 1 번 쉬프트 하면 2배 커지고 2 번 쉬프트하면 2^2 배 커진다.

    • n 번 쉬프트 하면 2^n 배 커진다.

    shl ax, 8
    shl eax, cl
    
  • shr <dest> <src> : <dest> = <dest> >> <src> 의 의미이다.

    • SHift Right 의 줄임말이다.

    • 1 번 쉬프트 하면 2배 나눠지고 2 번 쉬프트하면 2^2 배 나눠진다.

    • n 번 쉬프트 하면 2^n 배 나눠진다.

    shr rcx, 32
    shr qword[qNum], cl
    
    • 비트 이동 연산자는 다음 그림과 같이 동작한다.

    shift

메모리 관리

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HDD 또는 SSD 에 저장되어 있던 프로그램의 바이너리가 RAM 으로 복사된다. RAM 에 로드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부르는데 CPU 는 RAM 에서 이 프로세스를 읽으면서 명령을 수행한다.

CPU execute

현대의 컴퓨터는 프로그램을 HDD 또는 SSD 에서 RAM 으로 로드할 때 가상 메모리 시스템으로 관리한다. 64 비트 시스템에서는 0x0000000000000000 부터 0xffffffffffffffff 까지의 가상 메모리 영역이 하나의 프로세스에 할당된다. 즉 실질적인 물리적 주소를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의 메모리 영역을 할당하는 것이다.

가상 메모리 시스템의 메모리 영역

프로그램 바이너리가 RAM 에 로드될 때 할당되는 가상 메모리는 두 영역으로 나뉜다. 하나는 커널 영역, 하나는 사용자 영역이다. 커널영역은 커널 관련 메모리가 로드되고 시스템 콜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다. 실제 실행될 프로그램은 사용자 영역에 5 등분되서 로드되는데 스택Stack, 힙Heap, BSS 영역, Data 영역, Text 영역이 그것이다.

  • 스택Stack : 함수의 인자, 함수의 리턴 주소값, 지역 변수가 로드된다.

  • 힙Heap : 동적 할당 메모리(malloc, new 등) 가 저장된다.

  • BSS 영역 : 초기화되지 않았거나 0 으로 초기화된 전역변수, static 변수들이 저장된다.

  • Data 영역 : 초기화된 전역변수, static 변수들이 Data 영역에 저장된다.

  • Text 영역 : 실행될 어셈블리어들이 저장된다.

    memory layout

    • 위의 그림처럼 가장 낮은 주소부터 Text 영역, Data 영역, BSS 영역, Heap 영역, Stack 영역, 그리고 메인함수의 인자와 환경변수, 가장 높은 주소에 커널 영역이 저장된다.

    • 이 영역들은 모두 가상 메모리 영역이고 주소값도 가상 주소값이다.

    • 게임이든, 문서작업이든, 카카오톡이든 컴퓨터의 어떤 프로그램이라도 이런 식으로 가상 메모리가 할당이 된다.

      물리메모리

    • 그리고 그러한 가상 메모리 영역은 위와 같이 적절히 쪼개져서 물리 메모리, 즉 실제 메모리에 저장된다. 만약 실제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HDD 또는 SSD 를 사용하게 된다.

    •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게 되면 메모리 주소값을 일관되게 사용할 수 있고 만약 RAM 이 부족하면 HDD 또는 SSD 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.
    • 적절히 쪼개진다(Paging 기법) 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되는 것인지 설명하려면 한 학기가 필요할테니 운영체제 강의를 들으시며 배우시길 바랍니다.

가상 메모리 영역 실습

exercise_memory.c

gdb로 main에 브레이크를 걸고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난 뒤, info proc mapping을 입력하면 현재 프로세스에서 할당된 가상 메모리 영역을 볼 수 있다. pwndbg가 있다면 vmmap 으로 이쁘게 보여준다.

proc_mapping

한 번 소스코드를 컴파일하고 해당 변수들이 실제로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자.

가상 메모리 영역과 물리 메모리 영역 확인해보기

check_virtual_memory_structure.c

위 프로그램은 텍스트 영역, 데이터 영역, BSS 영역, 힙 영역, 스택 영역의 가상 메모리 주소와 그에 따른 물리 메모리 주소를 확인해볼 수 있는 간단한 C 프로그램이다.
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ccss17/test_virt_memory
cd test_virt_memory
make
sudo ./check_virtual_memory_structure HELLO WOLRD

이러한 명령어로 컴파일 한 후 실행하여 실습을 해볼 수 있고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.

addr-test

가상 메모리 주소값은 Text, Data, BSS, Heap, Stack 순으로 저장되지만 실제 물리 메모리 주소값은 이 5 가지 메모리 섹션 순으로 저장되지는 않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. 또한 메인 함수의 인자 개수를 나타내는 argc 는 스택의 맨 밑바닥에 있고 실제 인자를 가르키는 argv 배열은 스택보다 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. 따라서 메인 함수에 전달된 인자가 크면 클 수록 스택 영역 주소가 밑으로 할당될 것이다.


스택 메모리 관리

스택 메모리는 LIFO (Last-In, First-Out) 법칙으로 관리된다. 가장 마지막에 들어온 값이 가장 먼저 제거된다.

a = {7, 19, 37} 이라는 배열을 생각해보자.

push a[0]
push a[1]
push a[2]

pop a[0]
pop a[1]
pop a[2]

그리고 그 배열에 대하여 위와 같은 6개 명령어를 실행시켰다.

pushpop

그러면 스택 메모리는 각각의 6 개의 명령어마다 위의 그림과 같이 변하고 배열 a{37, 19, 7} 이 된다. push 로 값이 스택에 저장된 후 pop 으로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값이 제거 되면서 저장되는 것이다.

  • push <op> : 전달된 값을 스택의 가장 위(rsp) 저장한다.

    • push 는 내부적으로 rsp 레지스터를 사용해서 스택의 최상위 주소를 알아내고 그 주소에 값을 저장한다. 그런데 64 비트 메모리 시스템의 스택에에서는 8 바이트 값이 저장되니까 스택이 8 만큼 커진다. 그래서 rsp 에 저장된 값이 8 을 감소된다.

    • rsp8 을 더하는 게 아니라 왜 뺄까? 메모리 레이아웃 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스택은 높은 주소에서 낮은 주소로 확장되기 때문이다.

      push rax            ; rax 의 값을 스택에 저장하고 rsp 값에 8 을 뺀다.
      push qword [qVal]   ; qVal 의 메모리 주소에 있는 값을 스택에 저장하고 rsp 값에 8 을 뺀다.
      
  • pop <op> : 스택의 가장 위(rsp)에 있는 값을 <op> 에 저장하고 스택을 8 만큼 줄여준다.

    • 스택의 가장 위는 rsp 가 가르키고 있으니 결국 rsp 의 주소값에 있는 값을 <op> 에 저장한다는 말이다. 그리고 스택을 줄여주어야 하니 rsp8 을 더한다.

      pop rax            ; rsp 가 가르키고 있는 스택의 최상위 주소의 데이터를 rax 에 저장하고 rsp 값에 8 을 더한다.
      pop qword [qVal]   ; rsp 가 가르키고 있는 스택의 최상위 주소의 데이터를 qVal 의 메모리 주소에 에 저장하고 rsp 값에 8 을 더한다.
      

기타 명령어

test 명령어

  • test <op1> <op2> : <op1><op2> 의 AND 연산 결과가 0 일 때 FLAG 레지스터의 Zero Flag, 즉 ZF 를 True 로 세팅한다. irsad - 한편 je 명령어는 ZF 가 True 로 세팅되어 있을 때 점프한다. 그래서 je 명령어는 jump-if-zero 와도 같은 말이다. cmp 명령어는 두 값을 비교한다고 이해했는데 실제로는 cmp <op1> <op2><op1> 에서 <op2> 를 빼서 결과값이 0 이면 FLAG 레지스터의 ZF 를 True 로 세팅한다. 그래서 이후에 je 명령어가 FLAG 레지스터의 ZF 플래그가 True 로 세팅되어 있으면 점프하게 되고 세팅되어 있지 않으면 점프하지 않는다. 반대로 jne 을 jump-if-not-zero 와도 같다고 이해하면 된다.
    ```assembly
    test eax, eax
    je <locatoin>
    ```
    
    -   그래서 위와 같은 어셈블리어가 있을 때 `eax` 가 `0` 이 아니라면 `eax` 와 `eax` 의 AND 연산 결과는 `0` 이 아니다. 따라서 FLAG 레지스터의 ZF 플래그가 세팅되지 않을 것이고 `je` 는 점프하지 않는다. 한 마디로 `eax` 가 `0` 일 때 점프하라는 의미이다.
    

sete 명령어

  • sete <reg> : ZF (Zero Flag) 가 세팅되어 있다면 <reg>1 로 만들고 그렇지 않으면 0 으로 만든다.

nop 명령어

  • nop :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다음 명령어로 넘어간다.

    • NOP 코드는 다음에 배울 쉘코드 를 생성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.

    • NOP 코드는 바이너리로 0x90 이다. 예외적으로 NOP 코드만큼은 바이너리 값(0x90)을 암기할 필요가 있다.

나머지 어셈블리어들은?

https://www.amd.com/content/dam/amd/en/documents/processor-tech-docs/programmer-references/24594.pdf

이렇게 핵심 어셈블리어를 이해해보았기 때문에 나머지 어셈블리어도 스스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. 모르는 어셈블리어가 나오면 구글에 검색해보아도 되고 위의 레퍼런스를 참고해도 된다.


gdb 사용법 (1)

GNU Debugger 라고도 하는 gdb 란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디버깅 툴이다. 프로그램의 작동의 정확성과 논리적 오류를 검증하기 위한 과정을 일컫는 디버깅으로 소스코드로 프로그램을 정적으로 분석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서 런타임상에서 프로그램을 동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. 디버깅 툴은 radare2, lldb, rr-project, ida, ollydbg 등등이 있지만 이번에는 gdb 로 프로그램을 디버깅하는 가장 기초적인 방식을 알아보자.

gdb 명령어 (1) - 기초 명령어

  • $ gdb <program> : gdb 디버깅 시작

  • (gdb) run or r : 프로그램 시작

  • (gdb) break <location> or b : 브레이크포인트 지정

    • (gdb) break main or b main

    • (gdb) break 0x408571 or b 0x408571

  • (gdb) info breakpoints or i b : 브레이크포인트 상태보기

  • (gdb) delete breakpoints <location> or d br <location> : 브레이크포인트 삭제

  • (gdb) nexti or ni : 하나의 명령어씩 실행. 단, 서브루틴으로 들어가지 않음

  • (gdb) stepi or si : 하나의 명령어씩 실행. 단, 서브루틴으로 들어감

  • (gdb) next or n : 소스코드 한 줄을 실행. 단, 서브루틴으로 들어가지 않음

  • (gdb) step or s : 소스코드 한 줄을 실행. 단, 서브루틴으로 들어감

  • (gdb) continue or c : 브레이크 포인트를 무시하고 프로그램이 끝날 때가지 실행

  • (gdb) x/<n-bytes>x <location> : 해당 주소로부터 메모리를 n byte 를 본다.

    • (gdb) x/10x <location> : 해당 주소로부터 메모리를 10 byte 를 본다.
  • (gdb) info function : 해당 프로그램에 로드되어 있는 함수 목록을 본다.

  • (gdb) disassemble <function> : 함수의 어셈블리어를 본다.

gdb 연습 (1) - 간단한 C 프로그램

프로그램 준비 및 컴파일

먼저 add.c 을 저장합니다.

  • add.c 소스코드 :

    #include <stdio.h>
    
    int add(int n1, int n2)
    {
        puts("Hello World!");
        return n1 + n2;
    }
    
    int main(void)
    {
        int a = 8;
        int b = 1024;
        int result = add(a, b);
        printf("a + b = %d\n", result);
        return 0;
    }
    

그리고 컴파일을 하고 실행해봅니다.

$ gcc add.c -o add
$ ./add
a + b = 1032

gdb 로 디버깅하기

이제 gdb 로 디버깅을 해봅시다. 다음 명령어로 디버깅을 실습해보죠. 그리고 다른 명령어들도 스스로 실행해보고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해봅시다.

$ gdb add
(gdb) i file      # info files : 프로그램의 정보를 보는 명령
(gdb) i func      # info functions : 프로그램의 함수들을 보는 명령
(gdb) b main      # break main : main 함수에 브레이크포인트를 걸어서 main 함수가 시작될 때 프로그램이 멈춘다.
(gdb) i b         # info breakpoints : 현재 설정된 브레이크포인트를 본다.
(gdb) d br 1      # delete breakpoint 1 : 1 번 브레이크포인트를 삭제
(gdb) b main      # 다시 main 함수에 브레이크포인트 설정
(gdb) r           # run : 프로그램을 실행
(gdb) disas main  # main 함수의 어셈블리를 본다
(gdb) ni          # nexti : 하나의 명령어 씩 실행. 단, 서브루틴으로 들어가지 않음.
(gdb) ni          # ni 를 계속 실행하면서 레지스터와 메모리가 변하는 상황을 관찰해본다.
(gdb) si          # stepi : 하나의 명령어 씩 실행. 단, 서브루틴으로 들어감.
(gdb) si          # si 를 실행하면 call 된 함수의 루틴으로 계속해서 들어간다.
(gdb) c           # continue : 다음 브레이크포인트까지 프로그램을 진행시킴. 브레이크포인트가 없으면 프로그램이 끝날 때까지 진행시킴.

gdb 플러그인

gdb 는 매우 유용한 디버거이지만 아무런 플러그인이 없는 바닐라 gdb 를 사용할 경우 디버깅이 너무 힘들어진다. 그래서 gdb 를 위한 여러 오픈소스 프로젝트 가 있는데 크게 UI 중심, Exploit 중심으로 나뉜다.

이제부터 pwndbg 를 사용해서 디버깅을 해보자.

pwndbg

pwndbg 환경에서 gdb 로 프로그램을 디버깅하기 시작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.

gdb

  • RESIGSTERS 섹션은 현재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들을 보여준다.

  • DISASM 은 실행될 어셈블리어들을 보여준다.

  • STACK 은 스택 메모리 영역을 보여준다.

  • BACKTRACE 는 함수 호출 관계를 보여준다.


함수 호출의 컴퓨터 내부적인 원리

서브루틴 호출(call, ret 명령어)

add.c 를 다시 살펴보자. 그리고 이 프로그램의 main 함수의 어셈블리어를 해부해보자. objdump 로 어셈블리어를 확인할 수 있다.

$ objdump -M intel -D add | grep \<main\> -A19
0000000000400588 <main>:
  ...
  400590:   c7 45 f4 08 00 00 00    mov    DWORD PTR [rbp-0xc],0x8
  400597:   c7 45 f8 00 04 00 00    mov    DWORD PTR [rbp-0x8],0x400
  40059e:   8b 55 f8                mov    edx,DWORD PTR [rbp-0x8]
  4005a1:   8b 45 f4                mov    eax,DWORD PTR [rbp-0xc]
  4005a4:   89 d6                   mov    esi,edx
  4005a6:   89 c7                   mov    edi,eax
  4005a8:   e8 b9 ff ff ff          call   400566 <add>
  4005ad:   89 45 fc                mov    DWORD PTR [rbp-0x4],eax
  ...
$ objdump -M intel -D add | grep \<add\>: -A14
0000000000400566 <add>:
  ...
  400574:   bf 54 06 40 00          mov    edi,0x400654
  400579:   e8 b2 fe ff ff          call   400430 <puts@plt>
  40057e:   8b 55 fc                mov    edx,DWORD PTR [rbp-0x4]
  400581:   8b 45 f8                mov    eax,DWORD PTR [rbp-0x8]
  400584:   01 d0                   add    eax,edx
  400586:   c9                      leave
  400587:   c3                      ret

main 함수에서 call 을 사용해서 add 함수로 뛰고 add 함수가 끝나면 ret 명령어로 다시 main 함수로 되돌아오게 된다.

  • call <location> : call 의 다음 명령어의 주소값 을 스택에 push 하고, <location> 의 값을 rip 에 덮어쓴다.

    • 스택에 저장된 call 의 다음 명령어의 주소값부모 함수의 실행흐름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표지판 역할 을 하기에 리턴 주소값 이라 부른다.

    • 이 리턴주소값을 어떻게 조작하느냐에 따라 프로그램의 흐름도 조작하여 해커가 원하는대로 실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리턴주소값은 해킹에서 중요하게 다뤄진다.

    • 해커가 원하는 것은 해당 프로세스의 권한으로 실행하고 싶은 어셈블리어들을 실행하는 것이다. 때문에 프로세스의 실행을 조작해야 하는데 그 프로세스의 실행 흐름의 실체는 rip 레지스터의(PC ) 값이 가르키고 있는 명령어이다. 그리고 rip 를 바꿀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ret 명령어를 악용하는 것이다.

  • ret : 스택 맨 위(rsp)에 있는 값을 pop 해서 rip 레지스터에 덮어쓴다.

    • call 명령어가 스택에 저장해놓은 리턴 주소값pop 해서 rip 레지스터에 덮어쓴다.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부모 함수의 실행 흐름으로 되돌리는 것이다.

    • 해커는 해당 프로세스의 권한으로 자신이 원하는 동작을 행동하기 위해서 rip 를 바꾸기를 원한다. 때문에 call 명령어가 스택에 저장해두었던 리턴 주소값 을 해커가 실행하길 원하는 명령어가 있는 주소값으로 덮어쓴다.

      • 컴퓨터는 단지 표지판이 가르키는대로 이동하고 실행하고 이동하고 실행하기 때문에 리턴 주소값 을 해커가 조작했다 하더라도 컴퓨터는 단순히 그 주소값으로 이동하고 실행하기를 계속한다.

함수 인자와 반환값 전달 원리

64 비트 시스템과 32 비트 시스템에서의 함수 인자 전달 방식이 약간 다르기 때문에 file 명령어 등을 통해서 디버깅을 할 때 64 비트용 프로그램인지 32 비트용 프로그램인지 확인해야 한다.

  • 32 비트 프로그램의 출력:

    $ file crackme0x00a
    crackme0x00a: ELF 32-bit LSB executable, Intel 80386, ...
    
  • 64 비트 프로그램의 출력:

    $ file test64
    test64: ELF 64-bit LSB shared object, x86-64, ...
    

64 비트 시스템의 함수 인자/리턴값 전달

  • 함수 리턴값 전달 : 함수의 반환값은 rax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반환된다.

  • 함수 인자 전달 : 함수 인자가 첫번째 인자부터 차례대로 rdi, rsi, rdx, rcx, r8, r9 에 저장되어 전달된다.

    • 인자가 7 개 이상일 경우 7 번째 인자부터는 어쩔 수 없이 레지스터보다 좀 더 느린 RAM 을 사용한다.

    • many-add.c 를 보자. 이 경우 rdi1, rsi2, rdx3, rcx4, r85, r96 이 저장되서 전달되고 7 은 메모리에 저장된 채로 many_add 함수로 인자가 전달될 것 같다. 정말 그렇게 되는지 확인해보자.

      #include <stdio.h>
      int many_add(int n1, int n2, int n3, int n4, int n5, int n6, int n7) {
          int result = n1 + n2 + n3 + n4 + n5 + n6 + n7;
          return result;
      }
      void main() {
          int result = many_add(1, 2, 3, 4, 5, 6, 7);
          printf("%d\n", result);
      }
      
      • gcc many-add.c -o many-add 로 컴파일후 main 함수를 해부해보자.
      $ objdump -M intel -D many-add | grep \<main\>: -A21
      0000000000400567 <main>:
          ...
          40056f: 6a 07                   push   0x7
          400571: 41 b9 06 00 00 00       mov    r9d,0x6
          400577: 41 b8 05 00 00 00       mov    r8d,0x5
          40057d: b9 04 00 00 00          mov    ecx,0x4
          400582: ba 03 00 00 00          mov    edx,0x3
          400587: be 02 00 00 00          mov    esi,0x2
          40058c: bf 01 00 00 00          mov    edi,0x1
          400591: e8 90 ff ff ff          call   400526 <many_add>
          400596: 48 83 c4 08             add    rsp,0x8
          ...
          4005a0: 89 c6                   mov    esi,eax
          4005a2: bf 44 06 40 00          mov    edi,0x400644
          4005ac: e8 4f fe ff ff          call   400400 <printf@plt>
          ...
      
      • 0x400591call many_add 가 실행되기 전에 함수 인자가 차례로 저장되고 있다.

      • 인자를 초기화한 후 call 은 다음 명령어의 주소값(0x400596)를 스택에 push하고 add 함수를 실행한다.

      • add 함수가 끝나면 ret 명령어가 call 이 스택에 저장해놓은 리턴 주소값(0x400596)을 pop 해서 rip 에 덮어쓴다.

32 비트 시스템의 함수 인자/리턴값 전달

  • 함수 리턴값 전달 : 함수의 반환값은 eax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반환된다.

  • 함수 인자 전달 : 인자를 차례대로 esp, esp+4, esp+8, ..., esp+4n 의 위치에 저장한 후 call 명령어로 함수를 호출한다.

    • many-add.c 를 다시 보자. 32 비트 시스템에서는 그냥 모든 인자들이 스택에 저장되어 many_add 함수로 인자가 전달될 것 같다. 정말 그렇게 되는지 확인해보자.

      • gcc many-add.c -o many-add -m32 로 컴파일후 main 함수를 해부해보자. -m32 옵션을 붙혀야 32 비트 시스템용 프로그램이 된다.
      $ objdump -M intel -D many-add | grep \<main\>: -A21
      0804843a <main>:
      ...
      804844b:    6a 07                   push   0x7
      804844d:    6a 06                   push   0x6
      804844f:    6a 05                   push   0x5
      8048451:    6a 04                   push   0x4
      8048453:    6a 03                   push   0x3
      8048455:    6a 02                   push   0x2
      8048457:    6a 01                   push   0x1
      8048459:    e8 ad ff ff ff          call   804840b <many_add>
      804845e:    83 c4 1c                add    esp,0x1c
      8048461:    89 45 f4                mov    DWORD PTR [ebp-0xc],eax
      8048464:    83 ec 08                sub    esp,0x8
      8048467:    ff 75 f4                push   DWORD PTR [ebp-0xc]
      804846a:    68 00 85 04 08          push   0x8048500
      804846f:    e8 6c fe ff ff          call   80482e0 <printf@plt>
          ...
      
      • 0x8048459call many_add 가 실행되기 전에 함수 인자가 차례로 스택에 저장되고 있다.

      • 인자를 초기화한 후 call 은 다음 명령어의 주소값(0x804845e)를 스택에 push하고 add 함수를 실행한다.

      • add 함수가 끝나면 ret 명령어가 call 이 스택에 저장해놓은 리턴 주소값(0x804845e)을 pop 해서 rip 에 덮어쓴다.


과제

HW.md 파일에 따라 과제를 하시면 됩니다. (발표를 하며 설명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)